캄보디아에서 또 연락 두절…'직접 신고하라'는 대사관, 이대로 괜찮은가?
2025년 10월, 또 한 번의 캄보디아 실종 사건이 대한민국 사회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대구에 거주하는 30대 남성 양씨가 “일을 위해 2~3주간 다녀오겠다”며 출국한 이후,
이틀째 연락이 끊겼고 가족은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당사자가 직접 신고해야 한다’는 원칙만 되풀이되었다고 합니다.
해외 실종 사건이 급증하는 가운데, 과연 우리는 재외국민을 제대로 보호하고 있는 걸까요?
실종까지의 시간, 가족의 불안은 현실이 되다
양씨는 캄보디아 프놈펜에 도착한 후, 이틀간은 가족과 정상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습니다.
하지만 “중국인들과 일하는데 진행이 더디다”는 마지막 메시지를 남긴 후 돌연 연락이 두절됐습니다.
그의 부친은 수차례 전화를 걸어보았지만 연결되지 않았고, 급히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 연락했으나
"본인이 직접 신고해야 처리할 수 있다"는 매뉴얼적인 답변만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대사관의 원칙, 현실 앞에서는 무력했다
대사관은 지난 9월, 감금 및 취업사기 피해 대응 절차를 홈페이지에 안내했습니다.
여기에는 피해자가 직접 다음 정보를 제출해야 신고가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본인의 위치 및 연락처
- 건물 외관 사진(동,호수)
- 여권 사본 및 현재 얼굴 사진
- 구조 요청 동영상
하지만 감금 상황이거나 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는 위와 같은 자료 제공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즉, 가족이 아무리 불안해도 공식적인 조치는 취해지지 않는 구조적 한계가 존재하는 셈입니다.
왜 캄보디아인가? 한국인을 노리는 국제 조직
최근 몇 년간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지에서 ‘고수익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한 유인형 인신매매 범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2025년 한 해에만 캄보디아에서 구조된 한국인 피해자 수는 400명에 달하며,
현재까지 실종 신고만 최소 34건 이상 접수되었습니다.
공통적으로 피해자들은 “단기 고수익”, “채무 탕감” 등의 제안을 받고 출국한 후,
현지에 도착하자마자 여권을 빼앗기고 강제 노동에 투입되거나 감금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누가 이들을 지켜줄 것인가?
이번 사건은 단순한 실종 문제가 아닙니다.
대한민국 국민이 외국 땅에서 사라지고 있음에도, 외교 시스템은 대응 능력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가족들이 절박한 심정으로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해도,
‘피해자가 직접 신고해야 한다’는 규정 중심의 절차가 모든 것을 막고 있는 현실.
정말 이대로 괜찮을까요?
✋ 우리가 생각해볼 질문들
1. 대사관의 역할은 어디까지여야 하는가?
재외국민 보호의 최전선에 있는 외교부와 대사관은 사전 대응과 긴급 조치에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은 오히려 피해자의 직접 행동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 대한민국 정부는 해외 범죄에 얼마나 적극 대응하고 있는가?
반복되는 피해에도 제도적 보완이나 실질적인 대응 체계 마련은 더딘 상태입니다.
국회나 외교 당국 차원의 전수조사, 실태 파악, 예방 캠페인이 절실합니다.
3. 해외 취업 사기에 대한 경각심, 충분히 공유되고 있는가?
젊은 세대가 ‘빚을 갚기 위해’, ‘짧고 굵은 돈벌이’를 위해 무방비로 해외에 노출되고 있음은 사회 전체의 책임입니다.
공공기관과 언론이 더 많은 사례를 소개하고 예방에 앞장서야 할 때입니다.
✍️ 마무리하며
가족은 지금도 카카오톡에 메시지를 남기고, 아들의 생존을 믿으며 기다리고 있습니다.
“TV에서만 보던 일이 우리 가족에게 일어날 줄은 몰랐다”는 아버지의 말이, 이 시대의 현실입니다.
지금이라도 우리가 이 문제를 외면하지 않는다면,
또 다른 누군가가 돌아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해외 출국을 앞두고 있는 분들은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https://0404.go.kr/ 에서 각 국가별 여행경보, 최신 안전 정보, 행동요령 등을 제공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필요한 대처 방안도 안내하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