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이 교육을 잘 못해서 당한 것?” 캄보디아의 황당한 책임 전가

반응형

“한국이 교육을 잘 못해서 당한 것?” 캄보디아의 황당한 책임 전가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 감금, 살인 등 강력범죄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국내 여론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그러나 더욱 충격적인 것은 캄보디아 관광업계의 반응입니다.

한 범죄단지 건물. 사진=연합뉴스
한 범죄단지 건물.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관광업계의 주장: “사기당한 건 한국 잘못”

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는 자국민에게 온라인 사기의 수법을 더 잘 교육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희생자 대부분은 불법 고액 아르바이트에 속아 자발적으로 입국한 이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한국 정부가 관광과 범죄를 구분하지 않은 점이 유감”이라는 입장도 내비쳤습니다.
즉, 캄보디아는 관광지로서 안전하며, 일부 범죄와 전체 이미지를 혼동하지 말라는 메시지입니다.


한국 외교부의 대응: 프놈펜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이에 대해 한국 외교부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대해 ‘특별여행주의보(2.5단계)’를 발령하며 강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최근 들어 현지에 억류되거나 연락이 두절된 한국인이 급증하고 있으며, 불법 조직에 이용되거나 감금된 사례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캄보디아 정부는 자국이 “사기 범죄의 또 다른 피해자”라며,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캄보디아 정부의 반박과 미국 보고서의 실태 지적

사르 소카 캄보디아 내무장관은 “지난 2년간 1만5000명이 넘는 외국인 온라인 범죄자를 추방했다”며
자국도 범죄 척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의 2025년 인신매매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도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범죄조직과 고위 공무원의 유착이 문제”
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누구의 책임인가?

  • 1. 피해자 비난 논란: 범죄 피해자에게 '왜 속았냐'고 묻는 태도는 책임 회피일 수 있습니다.
  • 2. 국가 간 책임 공방: 범죄가 발생한 땅에서 안전을 보장해야 할 1차 책임은 어디에 있을까요?
  • 3. 여행객의 자가방어 교육 필요: 무작정 해외로 떠나기 전, 정보와 리스크에 대한 사전 학습이 필요합니다.

맺으며

캄보디아 내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가 급증하는 가운데,
그 책임을 한국 국민의 ‘교육 부족’ 탓으로 돌리는 주장은 많은 국민에게 분노를 사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감정적 대응을 넘어서,해외 범죄 리스크에 대한 사전 인식 강화, 정부의 예방 시스템 정비,
그리고 국제 협력 체계의 구체화
라는 실질적 과제도 함께 논의해야 할 시점입니다.

타인의 땅에서 내 권리를 지키기 위해선, 스스로 경계심을 갖는 것 또한 필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