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나 영포티야”... 왜 40대 남성은 밈의 조롱 대상이 되었을까?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40대 남성을 비꼬는 ‘영포티 밈’이 확산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포티’는 원래 젊은 감성과 스타일을 유지하려는 40대를 긍정적으로 지칭하던 단어였지만, 이제는 조롱과 멸시의 표현으로 변질되고 있습니다.
이제 ‘영포티’는 단순한 세대 트렌드가 아닌, 정치적 갈등, 세대 간 오해, 외모 중심 비난이라는 복합적 문제로 번지고 있습니다.
영포티의 시작은 ‘긍정’이었다
‘영포티’는 2015년 트렌드 분석가 김용섭 소장이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기성세대와는 다른 개성과 취향을 지닌 젊은 40대를 의미했습니다. 엑스(X)세대의 연장선상에서, 더 이상 희생만을 강요당하지 않고 자기 계발과 취향 소비를 즐기는 세대를 긍정적으로 조명한 것이죠.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영포티는 젊어 보이려 애쓰는 ‘꼰대 중년’이라는 이미지로 변모했고, 이는 2030 남성 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본격적으로 희화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조롱의 대상이 된 ‘스타일 있는 40대’
최근 각종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패션에 관심을 가지는 40대 남성을 조롱하는 콘텐츠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 농구화, 슈프림 바지, 스투시 티셔츠, 아이폰을 든 40대 남성을 풍자하는 이미지나 밈이 유행하고 있죠.
이러한 트렌드는 단순한 패션 조롱을 넘어 세대 간 문화와 가치의 충돌로 읽힐 수 있습니다. 특히, “훈계하려는 태도”, “진보 성향”, “페미니즘 지향” 등 문화적-정치적 요소까지 비난의 대상이 되며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나는 오버한 걸까?”… 자기 검열에 빠진 40대
일부 40대 남성들은 패션과 자기 표현에 대한 부정적 시선 때문에 구매했던 옷을 다시 입지 않거나, 취향을 자제하는 ‘자기 검열’까지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한 직장인은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 입는 게 아닌데, 왜 내가 검열당하고 조롱받아야 하냐”고 토로했습니다. 이는 결국 사회적 위축과 세대 단절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입니다.
영포티 밈의 이면: 세대 갈등과 정치적 분열
전문가들은 이러한 밈의 확산이 단순한 유머를 넘어 정치적 성향과 세대 간 감정의 분출이라고 분석합니다.
성균관대 구정우 교수는 “영포티 밈은 40~50대 진보 남성에 대한 보수화된 2030 남성들의 분노가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서강대 전상진 교수는 “밈이 사람을 단순화시키고 다양성을 지워버리는 위험한 콘텐츠”라며 **공감보다는 혐오를 강화하는 구조**를 경고했습니다.
진짜 문제는 ‘세대를 낙인찍는 사회’
‘영포티’는 더 이상 단어 그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우리 사회가 취향과 나이를 통해 사람을 규정하고 조롱하는 방식이 문제입니다.
트렌드 분석가 김용섭 소장은 “스타일에 나이의 주인공은 없다”며 “나이를 기준으로 사람을 규정하는 것이 더 위험한 사회”라고 강조했습니다.
누구든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당당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회, 그리고 세대 간 다름을 이해하는 문화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입니다.